현재 엄청난 인플레이션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물론 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연준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들이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시행하고 있죠.
하지만 인플레이션은 완전히 잡을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인플레이션은 통화가 존재하는 한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하게 됩니다.
그걸 갚을 때 이자를 지불해야 하죠.
그러면 그 이자는 어디서 나올까요?
이자는 다른 사람이 보유한 자본에서 나온 겁니다.
그 사람의 자본은 하늘에서 뚝 떨어졌나요?
아니죠.
결국 통화는 각국 중앙은행에서 발행한 뒤 시중은행으로 나눠지고, 시중은행은 지급준비금을 제외하곤 대출을 내주며 시장에 돈을 풀게 됩니다.
그렇게 돈이 풀리면 우리가 월급, 판매 수익 등으로 통화를 얻게 되는 거죠.
결국 돈의 본질은 빚입니다.
이 빚에 대한 이자를 지불하려면 통화를 더 찍어낼 수 밖에 없고 인플레이션은 계속해서 존재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으로 끝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통화를 긴축할 때인데 이때 잘못하면 디플레이션이 오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일본처럼 잃어버린 30년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조심히 다뤄야하죠.
'주식 > 투자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투자 미국 주식 추천 (0) | 2022.06.26 |
---|---|
10분만에 이해하는 자본주의 (0) | 2022.06.25 |
바닥의 확실히 잡을 수 있는 지표, 변동성지수 VIX 공포지수 (0) | 2022.06.22 |
장기투자가 실패하는 이유 (0) | 2022.06.22 |
하락장에 가장 적합한 투자법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