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 복기
포스코 리튬호수 관련주
포스코가 2018년 아르헨티나에 있는 리튬 염호를 3100억원에 인수했다.
3월에 발표했을 때 누적 매출 추정치 35조원이었는데 리튬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르자 103조원으로 가치가 올랐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갭 상승으로 출발하게 되었다.
9시 24분 35초 [특징주] 포스코엠텍, 아르헨티나 리튬호수 100조 가치 폭등에 강세
이미 갭상승을 했기 때문에 다른 종목에 관심을 주고 있는 사이 HTS에 뉴스가 뜨며 본격적인 상승이 나타났다.
과거 상승 후 반등이 없던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이번에도 역시 반등이 없이 하락했다.
포스코엠텍이 상승한 뒤 고가에서 횡보하고 있을 때 뉴스가 출현하며 상승이 나왔다.
2등주였기 때문에 역시 상승폭이 크진 않았다.
9시 50분 52초 [특징주] 웰크론한텍, 포스코 리튬 호수 100조 '잭팟'에 강세
3월, 5월에 포스코 리튬 호수 관련으로 상승했을 때 웰크론한텍도 관련주가 되어 상승했었다.
이런걸 보면 확실히 테마주는 정리를 해놓는 게 맞다.
미리 웰크론한텍을 떠올렸다면 더 빠른 접근이 가능했을 것이다.
매수를 최대한 빨리한다고 했는데 늦었다.
그 뒤 곧바로 상승 VI가 발동됐는데 VI 풀리면 팔려고 시장가 매도 걸어놨더니 갭하락으로 시작했다.
수익이 많이 줄어들었다.
VI 이후 갭하락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이 경우 다시 올라가는 종목이 있고 아닌 종목이 있다.
그 구분은 아직 어렵다.
리튬 관련으로 오른 종목이 또 하나 있다.
포스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건 아니지만 가치가 뛴 것이 리튬가격 급등이기 때문에 국내 리튬 생산 기업을 주목하는 기사가 나오면서 상승이 시작됐다.
12시 45분 38초 [SEN]리튬 가격 1년새 3배 '껑충'... 국내 생산 기업은 어디?
매수가 엄청 확 들어온 건 아니었지만 이런 식으로 연결된 종목도 있다는 걸 정리하고 싶어서 추가했다.
제넥신
별로 강하지 않았는데 오판했다.
오전 9시 36분 17초 [이슈] 제넥신 "안전하고 효력 긴 코로나 백신 개발한다"... '임상 2/3상 병원 윤리위 심의 통과'
윤리위 심의 통과라는 말에 혹해서 샀는데 생각해보면 별거 아닌 뉴스였다.
매수했다가 얼른 매도 처리했다.
사실 제넥신을 더 빠르게 정리했어야 하는데 조금 머뭇거리는 사이 내려왔다.
시장 복기
셀루메드
셀루메드는 장전 뉴스가 나왔다.
오늘 포스코엠텍, 셀루메드, YBM넷, 삼성 로봇 관련주 정도가 공략이 최적화된 종목이었다.
장 전부터 뉴스가 나왔는데 독일 아르떼 실사를 완료하고 mRNA 생산효소 개발과 조기공급을 가속화하겠다는 내용이었다.
바로 코로나랑 관련된 건 아니지만 mRNA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만한 소스이긴 했다.
장 시작 후에도 셀루메드에 뉴스가 나오긴 했지만 살짝 갭상승 후 특별한 눌림 없이 계속 상승했다.
단순히 HTS 뉴스만 보고 돌파하는 것도 좋지만 밤사이 나온 뉴스로 미리 종목을 뽑아 공략하는 것도 좋다는 증거다.
삼성 로봇 관련주
삼성전자가 로봇사업팀을 격상시키면서 며칠 전 로봇 관련주가 관심을 받앗는데 며칠 만에 다시 로봇 관련주 장세가 섰다.
메타버스가 시들하니 이번엔 로봇인가보다.
삼성 뿐 아니라 현대차, LG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들은 이미 로봇 사업에 적극적이다.
현대차는 전세계에서 가장 앞선 기술력을 가졌다는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인수했고 LG그룹은 로보티즈, 로보스타 등 국내 기업을 인수하거나 지분 투자를 했다.
그만큼 로봇 M&A 시장이 뜨겁다.
로보티즈는 자율주행 특허 뉴스가 나온 뒤 급등이 시작됐다.
3% 정도 올랐다가 페이크로 다시 원점으로 빠졌다가 다시 상승하는 어려운 모습을 보였다.
움직임이 어려웠던 것은 차치하고 오늘 로보티즈가 엄청나게 강했기 때문에 다른 로봇 관련주들도 후속으로 상승할 수 있었다.
포지션은 이미 올린 뒤 뉴스가 뜨긴 했지만 단순하게 보기는 어렵다.
HTS에는 뉴스가 없었지만 이미 로봇 관련주가 삼성을 바탕으로 매수가 들어오며 전반적으로 오르고 있던 상황에 뉴스가 매수세를 확 붙인 것이기 때문이다.
이유 없이 오르다가 뉴스 띄우는 것과는 조금 다르다.
오전 10시 14분 8초 티로보틱스, 삼성전자 로봇 전문자 영입 "4대 로봇 시장 집중 육성"
삼성 로봇 투자 때문에 오르는데 마침 삼성 전문가를 영입했다?
이거는 땡큐라고 생각해서 바로 VI에 들어가서 갭을 띄운 것 같다.
또 다른 로봇 관련주이다.
이건 뉴스 제목이 아주 좋았다.
오전 10시 25분 38초 [특징주] 포메탈, 숨은 로봇 최강자 200조 규모 산업용로봇 RV감속기 공급 부각
제목에 200조원 규모라고 하며 사람들의 관심을 확 사로잡았다.
근데 막상 내용에는 뭐가 200조인지 안써있다.
역시 제목만 잘 뽑으면 상승은 따라온다.
오전 10시 42분 38초 [특징주] 에브리봇, 삼성 로봇 기업 M&A 물색 전망 소식에 강세
티로보틱스와 마찬가지로 이미 상승하다가 뉴스가 나온 후 VI 진입했다.
다음은 스맥이다.
오전 10시 47분 9초 [특징주] 스맥, 삼성전자 로봇업체 M&A 추진... 삼성 분사 로봇기업 부각
삼성에서 떨어져나온 상장사들이 몇 있는데 삼성 테마가 생기면 관련주가 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
스맥도 오르다 뉴스가 나오긴 했지만 티로보틱스나 에브리봇에 비해 비교적 조용한 차트 흐름이었다.
다음은 러셀.
러셀은 반도체 장비 기업인데 로봇 관련 자회사를 가지고 있다.
오전 11시 9분 51초 [특징주] 러셀, 삼성 로봇사업 본격화에 SK하이닉스, 현대차 로봇 공급 부각 강세
거의 움직임이 없다가 뉴스가 나오는 순간 튀었다.
역시 움직임 없던 종목들이 뉴스 반응이 좋다.
오전 11시 26분 6초 [특징주] 싸이맥스, 삼성전자 1차 협력사 인공지능형 의료용 로봇 공급 부각
1차 협력사에 공급한다고 하니 뉴스 자체는 좋은데 이미 앞선 관련주가 너무 많아서 지속적인 상승은 어려웠다.
다만 상승이 별로 없던 상태에서 나와서 단기간에 7%정도 상승이 나왔다.
차트 안에 %는 뉴스 후 상승이 나오다가 하락 또는 멈춤이 나오는 구간을 뜻한다.
너무 후발이었는지 흐름이 아주 구렸다.
뉴스 나온 후 VI 걸렸다가 갭하락.
오전 11시 28분 [특징주] 케이피에프, 삼성 등 국내 대기업 로봇 사업 진출... 자회사 국내 최초 로봇 핵심부품 기대감
역시 반복되면 강도가 점점 약해진다.
YBM넷
HTS에 뉴스가 나온 게 아니고 속보가 뜨면서 확 쳤다.
다른 관련주들보다 현격히 빠른 속도로 YBM넷이 올라왔다.
단계적 일상회복이 중단되더라도 교육부에선 전면등교 고수한다고 했는데 오늘 속보로 내주부터 수도권 학교 전면등교 중단하고 2/3 등교한다고 나왔다.
곧 방학이지만 그래도 교육부가 입장을 바꾼 것이기 때문에 기대하지 않던 호재에 강하게 반응이 왔다.
펩트론
펩트론은 좀 애매했던 종목인 것 같다.
공략을 했으면 수익은 났겠지만 아주 강한 몇몇 종목에 비하면 별로?
펩트론에 9시 35분, 38분에 뉴스가 나온다.
유럽의약품청 현장실사 완료라고 기사가 떴는데 사람들의 이목을 전혀 끌지 못했다.
그러다 독점공급으로 매출 5000억 확보했다는 기사가 나오자 그때서야 반응이 왔다.
역시 뉴스는 제목이 중요하다.
뉴스 자체는 빅이 아니었지만 그래도 공부가 되는 움직임이었다.
이노뎁
이노뎁 역시 마찬가지다.
보호예수 매각 의향 없다고 기사가 뜨면서 오버행 이슈를 해소시키려고 했지만 반응이 없었다.
그러다 메타버스 사업 매출 증가 기대라고 하니까 주가가 확 뛰었다.
하지만 이노뎁 뉴스 자체가 강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략은 좀 별로라고 봤다.
오늘의 교훈
1. 포스코엠텍, 셀루메드, 로보티즈, 러셀, 스맥, 포메탈 이정도가 오늘 공략하기 좋았던 종목들이다.
2. 상승한 뒤 뉴스 나오는 종목은 매우 조심하자.
3. 같은 뉴스라도 제목이 강해야 매수가 들어온다.
4. 테마 대장주가 강하면 후발주의 뉴스라도 공략 구간을 줄 수 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주식 > 이슈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HN벅스 바이오니아 바디텍메드 시장 복기 및 주가 전망 (0) | 2021.12.17 |
---|---|
넷게임즈 넥슨지티 합병 주가 전망 (0) | 2021.12.16 |
한국비엔씨 와이제이엠게임즈 현대바이오 복기 및 주가 전망 (0) | 2021.12.15 |
메드팩토 삼진엘앤디 대원제약 대원화성 복기 및 주가 전망 (2) | 2021.12.14 |
바이오니아 유진로봇 지니언스 매매일지 및 주가 전망 (1) | 202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