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VI 발동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갑자기 주식이 멈춰서 거래가 안 되는 현상을 경험하게 되는데 제도를 모르면 상당히 당황할 수 있다.

    변동성 완화장치, VI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자.

     

    VI 썸네일

    VI의 정식명칭은 변동성 완화장치이다.

    종목이 너무 많이 오르거나 내릴 때 발동되어 과열된 분위기를 식힐 시간을 준다는 의미이다.

    원래부터 있던 것은 아니었고 2014년에 도입되었는데 이때는 동적 VI만 존재했다.

     

    하지만 1년 뒤 가격제한폭 제도가 변경되면서 정적 VI라는 제도가 추가되었다.

    동적 VI, 정적 VI에 대해서도 아래에서 살펴보자.

     

    VI 발동 효과

    VI가 발동되면 2분 동안 동시호가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는 주문을 해도 바로 체결되는 게 아니라 모았다가 2분 후 체결되는데 시가, 종가, 시간외 단일가의 체결 방식과 같다.

     

    이런 방식을 동시호가라고 부르는데 말그대로 그 기간 내에 주문을 하면 똑같은 시간에 주문한 것으로 간주한다는 의미이다. 동시호가에 대해서는 차후에 다른 글에서 다뤄보도록 하겠다.

     

    정적 VI

    우리가 하루 중 접하는 VI는 대부분 정적 VI이다.

    정적 VI는 미리 정해진 가격을 이탈할 경우 발동되는 것이다.

     

    첫 정적 VI는 시가를 기준으로 한다.

    시가보다 +-10% 가격에 닿으면 발동되어 2분간 동시호가가 진행된다.

     

    그리고 동시호가가 진행된 후 가격에서 다시 +-10% 변동이 일어나면 또 정적 VI가 발동된다.

    횟수 제한이 없기 때문에 이벤트가 있는 날에는 한 종목이 5~6번씩 걸리는 것을 볼 수도 있다.

     

    키움 HTS 정적 VI 가격 확인

    키움증권의 경우 HTS에서 정적 VI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증권사도 가능할텐데 필자는 키움만 알아서 공유하도록 하겠다.

     

    호가창
    호가창 (출처 : 키움증권)

    키움의 호가창을 켰을 때 설정을 해두면 화살표처럼 VI 가격에 바탕색을 칠할 수 있다.

    또 빨간 네모칸을 클릭하면 정적 VI 가격을 한눈에 볼 수 있다.

     

    현재가 설정
    현재가 설정화면 (출처 : 키움증권)

    만약 호가창에서 VI발동 가격을 표시하고 싶다면 설정에 들어간 후 빨간 네모칸을 체크하고 확인 누르면 된다.

     

     

    동적 VI

    이번엔 동적 VI를 알아보자.

    동적 VI는 갑자기 오르거나, 내리는 경우 발동하는 것으로 주문 실수 등으로 인한 급격한 가격 변동을 막기 위해 만들어졌다.

     

    조건이 제법 까다로워 잘 발동이 되지 않는데 발동될 경우 2분간 동시호가에 들어가는 것은 정적 VI와 같다.

     

    동적 VI 발동조건

    시간별로 발동 조건이 조금 다르다.

    정규장 (9시~15시20분) 종가 동시호가(15시 20분~30분) 시간외 단일가(16시~18시)
    코스피 200 : 3%
    그외 종목 : 6%
    코스피 200 : 2%
    그외 종목 : 4%
    코스피 200 : 3%
    그 외 종목 : 6%

    이렇게 변동되면 동적 VI가 발동된다.

     

    예를 들어 정규장에서 코스피 200 종목이 동적 VI가 걸리려면 3%가 움직여야 한다는 뜻이다.

    그럼 3%를 어떻게 움직여야 발동되는 것일까?

    그냥 3% 오르거나 내린다고 걸리는게 아니라 직전 체결 가격보다 3% 이상 변동하는 주문을 내면 발동된다.

     

    그러니까 주문을 내서 3% 올릴만큼 시장가로 한 번에 다 긁어버리거나 반대로 3% 내릴 만큼 시장가로 매도해버리면 발동되는 것이다.

     

    VI 발동 과거 기록 보기

    예전에는 한국거래소에서 VI 발동 내역을 모두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런데 홈페이지 개편이 되면서 사라진 건지 못찾는 건지 한글 페이지는 찾을 수가 없다.

     

    다만 글로벌 한국거래소 홈페이지에는 VI 발동현황을 제공해주고 있다.

    영어로 되어있지만 원하는 사람은 이용해보기 바란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주식 투자 시 고려해야 하는 여섯 가지 클릭!

    주식에서 가장 중요한 <종목 선정> 클릭!

    미국 지수 ETF 하는 이유와 추천 종목 클릭!

    추가상장 악재 피하는 법 클릭!

    주식 공시 별 호재 & 악재 판단하는 방법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