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에는 감자라는 것이 있다.

    투자자라면 누구나 두려워하는 것인데 이유는 감자를 결정하게 되면 주가가 급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유가 무엇인지, 감자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자.

     

    감자의 의미

    기본적으로 우리나라는 한자를 많이 쓰는데 주식시장의 용어 중에도 한자가 많다.

    감자는 자본을 감소시킨다는 의미의 한자어이다.

    여기서 말하는 자본은 주식회사의 자본금을 말한다.

     

    자본금

    주식회사에는 자본금이라는 게 있다.

    사업의 밑천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처음 주식을 발행할 때 액면가x발행주식수만큼 자본금을 납입하게 되어있다.

    예를 들어 만원짜리 천주를 발행해서 주식회사를 세운다면 자본금은 천만 원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익히 아는 회사들은 이 자본금만 가지고 사업하지 않는다.

    삼성전자의 자본금은 8975억원에 지나지 않는다.

    1년에 230조씩 버는 기업이 1조도 안 되는 자본으로 사업할 수 있겠는가?

    당연히 아니다.

     

    자본금은 회사 자본의 일부일 뿐이다.

    자본잉여금, 기타자본, 이익잉여금 등이 합쳐져 자본총계가 된다.

     

    자본총계

    위에서 밝힌 단어의 뜻을 하나씩 살펴보자.

     

    자본금

    회사의 밑천

     

    자본잉여금

    유상증자 등을 통해 발생한 자본상 이익이다.

    증자는 자본금을 늘리는 것인데 왜 잉여금이 생기는지는 다음에 알아보도록 하자.

     

    기타자본

    자사주 등이 기타자본이다.

     

    이익잉여금

    영업활동이나 재무활동으로 축적된 이익을 말한다.

     

    이런 것들이 합쳐지면 자본총계가 된다.

     

    자본잠식

    자본잠식은 자본총계가 자본금보다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보통 사업을 잘못해서 손실이 누적되면 이익잉여금에 반영되는데 그게 너무 커져서 자본금을 깎아먹을 정도가 되면 자본잠식이라고 부른다.

     

    자본잠식이 심해지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도 있고 더 심하면 상장 폐지될 수 있다.

    바로 이런 걸 방지하기 위해서 회사는 감자라는 것을 결정하게 된다.

     

     

    유상감자와 무상감자

    감자는 유상감자와 무상감자가 있는데 유상감자는 감자를 하는 대신 주주들에게 지분 비율에 따라 돈을 지급하는 것이다.

     

    하지만 감자가 애초에 재무구조 개선을 하기 위해 실행하는데 유상감자는 실제 돈을 나눠져야 돼서 자본이 감소하므로 시행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보통 감자라면 무상감자를 말한다.

    무상감자는 돈을 지불하지 않으며 회계장부 상 이동만 있게 된다.

     

    무상감자의 효과

    주주들에게 보상 없이 주식수를 줄이고 그 비율만큼 자본금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본금이 100억 원, 자본총계가 50억 원인 회사가 있다고 하자.

    그러면 이 회사는 자본잠식률이 50%인 안 좋은 기업이다.

    이 회사가 2대 1 무상감자를 시행하면 자본금이 50억 원으로 줄어드니 자본잠식이 없어지게 된다.

    이게 회사가 무상감자를 하는 이유이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감자를 싫어할까?

    일단 감자를 한다는 것 자체가 기업의 재무상태가 건전하지 못하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거기에 무상감자는 자본금만 낮추는 것이기 때문에 자본잠식에서 탈피한 후 다시 유상증자를 결정해 자금을 확보하는 기업들도 꽤 많다.

     

    유상증자를 시행하는 경우 주식가치가 희석되므로 기존 주주들에겐 반가운 일이 아니다.

    보통 무상감자는 기업이 선택하는 최후의 수단이므로 이걸 시행한다는 자체가 투심이 악화되는 일이고 투매를 불러오게 된다.

     

    그래서 감자가 결정되면 단기적으로 급락이 나오는 것이다.

    간혹 감자에도 오르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극소수다.

     

    감자 주의사항

    우선 내가 보유하고 있는 중 감자 결정이 나서 갭하락을 맞는다면 어쩔 수가 없다.

    그건 피할 수가 없는 부분이니 어쩔 수 없지만 감자를 시행하기 위해선 거래정지가 일정기간 동안 이뤄지는데 그 전일에 팔지 않고 보유하고 있으면 감자를 받게 된다.

     

    왜냐하면 다음 날 정지가 되고 정지가 돼있는 중에 기준일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재무가 조금 안 좋다 싶은 종목은 혹시 감자가 결정된 적이 있는지 정지 기간이 지났는지 확인하고 접근해야 한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주식 투자 시 고려해야 하는 여섯 가지 클릭!

    주식에서 가장 중요한 <종목 선정> 클릭!

    미국 지수 ETF 하는 이유와 추천 종목 클릭!

    추가상장 악재 피하는 법 클릭!

    주식 공시 별 호재 & 악재 판단하는 방법 클릭!